- 교육목적
- 급식과 연계한 생활교육의 영양교육 활성화로 건전한 식생활 습관을 갖도록 하여 영양불균형 해소와 비만 등 만성 퇴행성 질환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평생 건강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교육목표
- 학생들의 영양평가 및 영양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다.
- 학생들의 영양상담 및 영양판정 능력을 습득한다.
- 식품의 위생적 처리 방법을 습득하여 건전하고 안전한 학교급식을 제공한다.
- 단체급식에서의 조리기술과 이론을 익혀 학생들의 기호에 맞는 영양적인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국가의 식량정책과 국민보건의 정책에 합당한 영양교육과 급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최정화 | 영양학 | 580-5913 |
배지현 | 식품영양학 | 580-5875 |
고봉경 | 식품학 | 580-5876 |
최미경 | 조리실습법 | 580-5872 |
강현주 | 영양생화학 | 580-5874 |
정윤정 | 영양학 | 580-5871 |
교육과정
구분 |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필수 (2009학년도 2학기 입학부터 적용) |
기본이수과목 | ||
---|---|---|---|---|---|---|---|
교과 교육 |
교과 내용 |
2008학년도 입학자까지 |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
||||
0 | B1370 | 영양교육및상담실습 | 2 | ○ | ○ | ○ | |
0 | B1371 | 생애주기영양교육론 | 2 | ○ | |||
0 | B1372 | 영양판정지도및실습 | 2 | ○ | ○ | ||
0 | B1373 | 식사요법지도및실습 | 2 | ○ | |||
0 | B1374 | 식품학교육 | 2 | ○ | ○ | ||
0 | B1375 | 조리원리교육및실습 | 2 | ○ | |||
0 | B1376 | 단체급식교육및실습 | 2 | ○ | ○ | ||
0 | B1377 | 식품위생학교육 | 2 | ○ | ○ | ||
0 | B1378 | 아동및청소년영양교육 | 2 | ||||
0 | B1379 | 임상영양학교육 | 2 | ||||
0 | B1380 | 지역사회영양교육 | 2 | ||||
0 | B1381 | 고급영양학교육 | 2 | ○ | |||
0 | B1382 | 최신영양문제지도 | 2 | ||||
0 | B1383 | 급식경영사례연구 | 2 | ||||
0 | B1384 | 식품과문화연구및지도 | 2 | ||||
0 | B1385 | 식재료구매및재고관리교육 | 2 | ||||
0 | B1386 | 급식위생관리와HACCP지도 | 2 | ||||
0 | B1387 | 기능성식품교육 | 2 | ||||
0 | B1388 | 환경과영양교육 | 2 | ||||
0 | B1389 | 비만과영양교육 | 2 |
교과목 개요
-
- B1370 영양교육및상담실습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 Counseling)
- 임상적 측면에서 영양상담의 원리와 절차를 다룬다. 개인과 단체를 위한 영양적 치료계획의 개발과 평가를 위해 필요한 조사대상자의 영양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을 연마하는데 중점을 둔다.
-
- B1371 생애주기영양교육론 (Education Theory of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 인간의 생애주기에서 나타나는 영양적 특수성과 특이 환경에 노출될 때의 영양상 문제점들에 대한 지식과 이해 및 실천적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교육한다.
-
- B1372 영양판정지도및실습 (Practice & Education of Nutritional Status Assesment)
- 개인 및 집단 수준에서 사용되는 식이섭취 조사 방법과 신체계측을 이용한 영양판정법, 임상적 평가방법, 영양상태의 생화학적 평가 방법 등을 다루며 영양 불균형의 진단, 대사 실험의 기본을 학습한다.
-
- B1373 식사요법지도및실습 (Practice & Teaching of Diet Therapy)
- 질병의 병태생리를 이해하여 식이처방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식단을 작성할 수 있게 한다.
-
- B1374 식품학교육 (Education of Food Science)
- 식품의 기본 성분과 그 구조 및 성질 그리고 조리, 가공, 저장 중에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를 취급하는 학문이다. 식품으로서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조건 중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영양소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그 구조를 바탕으로 식품 전반에 대한 종합적 지식을 습득한다.
-
- B1375 조리원리교육및실습 (Principles of Cookery Science & Practice)
- 식품 내에 존재하는 당질, 단백질, 지방의 조리과정에서 수반되는 화학적, 물리적, 관능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며 최근 연구되어지는 실험조리 방법 등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조사하고 논의한다.
-
- B1376 단체급식교육및실습 (Practice & Education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 단체급식 업무에 관련된 인사, 조직, 통제, 경영 등과 아울러 급식의 종류별 특성 및 위생 서비스 등 단체급식의 모든 관리를 다룬다.
-
- B1377 식품위생학교육 (Education of Food Hygiene)
- 안전한 식품섭취를 통한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식품 위생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과 예방대책, 관리방법 등을 학습하도록 한다. 특히 급식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해 요소들을 요인별로 분석하여 중점 관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도록 한다.
-
- B1378 아동및청소년영양교육 (Children & Adolescence Nutrition Education)
- 임신부터 유유아, 학동,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영양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이유식과 학동기의 학교급식프로그램 및 어린이 영양교육 등을 다룬다.
-
- B1379 임상영양학교육 (Education of Clinical Nutrition)
- 실제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최근 영양지식과 영양이 질병의 치료와 예방적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학습하고 연구한다.
-
- B1380 지역사회영양학교육 (Education of Community Nutrition)
- 지역사회에 내재하고 있는 영양문제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영양상태 결정요인 등에 대하여 이해하고 지역주민의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정책 결정과정과 영양개선 사업 수행 및 평가 방법들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지역영양문제에 대처하여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 B1381 고급영양학교육 (Education in Advanced Nutrition)
- 기초영양학에서 습득한 지식을 토대로 세포의 영양, 영양소별 대사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두뇌와 영양, 호르몬, 운동과 영양 등 영양학의 광범위한 분야를 고루 접하도록 한다.
-
- B1382 최신영양문제지도 (Teaching in Current Nutrition Problem)
- 영양이 건강 및 질병에 미치는 여러 최근 연구들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영양문제와 예방적 차원에서 영양이 공헌할 수 있도록 여러 실험적, 문헌적, 역학적 정보를 분석 평가한다.
-
- B1383 급식경영사례연구 (Food Management Case Study)
- 영양교육의 현장실습을 하여 영양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킨다. 단체급식에서 경영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품질을 높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강의 한다.
-
- B1384 식품과문화연구및지도 (Research & Teaching of Food & Culture)
- 인간의 식생활은 자연과학 지식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한민족 고유의 음식문화는 그 지역의 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받아 형성하게 된다. 본 학과목은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장점과 세계화에, 그리고 세계의 독특한 음식문화를 이해하게 함으로서 우리민족에 대한 긍지와 세계 음식문화의 형성배경을 학습하게 한다.
-
- B1385 식재료구매및재고관리교육 (Education in Advanced Food Procurement & Inventory)
- 단체급식에서 식품소매 및 재고관리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실제 응용함을 알도록 한다.
-
- B1386 급식위생관리와HACCP지도 (Teaching Food Sanitation and HACCP)
- 단체급식에서 식중독 예방과 위생적 관리를 위하여 위해요소 중점관리를 하는 방법을 이해시킨다.
-
- B1387 기능성식품교육 (Education of Nutraceutical Food)
- 최근 기능성식품과 건강보조식품의 소비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여러 가지 기능과 적절한 이용 및 그 기능에 대하여 이해시킨다.
-
- B1388 환경과영양교육 (Education of Environment and Nutrition)
- 영양은 물리적 환경에 따라 그 빈도가 달라지므로 특수 환경상태에서 생리적 변화와 영양소대사 및 요구량에 대하여 이해시킨다.
-
- B1389 비만과영양교육 (Education of Obesity and Nutrition)
- 영양불균형으로 비만인 수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열량섭취와 열량 소비의 균형을 이해하게 되고 체중조절의 방법과 유지에 대하여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 생활습관에 관하여 교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