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 전산교육전공의 교육목적은 중·고등학생들에게 급속히 변화하는 정보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컴퓨터 지식과 새로운 가치관을 교육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교육목표
-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컴퓨터 사용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급속히 변화하는 컴퓨터 기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정보 인터넷과 다양한 교육매체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는 전산교육자의 자질을 연마한다.
-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기술을 연마한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박세진 | 컴퓨터공학 | 580-5270 |
남재열 | 컴퓨터공학 | 580-5348 |
홍동권 | 컴퓨터공학 | 580-5281 |
주홍택 | 컴퓨터공학 | 580-5234 |
고병철 | 컴퓨터공학 | 580-5235 |
이덕우 | 컴퓨터공학 | 580-5268 |
박요한 | 컴퓨터공학 | 580-5229 |
교육과정
구분 |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필수 (2009학년도 2학기 입학부터 적용) |
기본이수과목 | ||
---|---|---|---|---|---|---|---|
교과 교육 |
교과 내용 |
2008학년도 입학자까지 |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
||||
○ | B1722 | 프로그래밍교육 | 2 | ○ | ○ 2017부터 | ||
○ | B1285 | 컴퓨터교육지도 | 2 | ||||
○ | B1288 | 데이터베이스교육 | 2 | ○ | ○ | ||
○ | B1290 | 컴퓨터구조교육 | 2 | ○ | ○ | ||
○ | B1726 | 이산수학론 | 2 | ○ 2017부터 | |||
○ | B1724 | 네트워크교육 | 2 | ○ 2017부터 | |||
○ | B1297 | 자료구조교육 | 2 | ○ | ○ | ○ | |
○ | B1298 | 객체지향시스템교육 | 2 | ||||
○ | B1299 | 멀티미디어응용교육 | 2 | ||||
○ | B1301 | 웹프로그래밍교육 | 2 | ○ | |||
○ | B1725 | 소프트웨어공학교육 | 2 | ○ | ○ 2017부터 | ||
○ | B1478 | 정보컴퓨터교재연구및지도법 | 2 | ||||
○ | B1721 | 컴퓨터(정보)교육론 | 2 | ○ 2017부터 | |||
○ | B1480 | 정보컴퓨터논리및논술 | 2 | ||||
○ | B1481 | 인터넷윤리교육 | 2 |
교과목 개요
-
- B1722 프로그래밍교육 (Teaching Programming)
- 각 프로그래밍언어들의 특징을 비교하여, 주어진 과제에 가장 적절한 프로그래밍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실제 사용되는 언어들을 대상으로 구문구조, 부프로그램 처리 방법, 캡슐화 기능, 예외 처리 기능 등을 학습한다.
-
- B1285 컴퓨터교육지도 (Teaching Computer Education)
- 전자계산학에 대한 이론들을 중등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교육 과정화 하는 이론과 방법을 다루고 새로운 방법들을 연구 지도한다.
-
- B1288 데이터베이스교육 (Teaching Databases)
-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방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ER-모델 기법과 최신 기법인 객체지향 모델 등을 교육한다. 그리고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질의어 중 현재 표준으로 되어 있는 SQL의 사용법을 교육한다.
-
- B1290 컴퓨터구조교육 (Teaching Computer Architecture)
- 컴퓨터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와 개념은 다른 컴퓨터 관련 과목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전통적인 컴퓨터 하드웨어, 논리회로, 시스템 소프트웨어, 고속입출력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
- B1726 이산수학론 (Theory of Discrete Mathematics)
- 컴퓨터공학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명제와 논리, 증명, 집합, 행렬, 관계, 함수, 그래프, 트리, 순열, 조합, 확률 등과 같은 이산수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중등교과과정의 이산수학 관련 교육방법 등을 학습한다.
-
- B1724 네트워크교육 (Teaching Networks)
- 컴퓨터 네트워크의 특성 및 동작구조, 네트워크에서의 교환방법 및 경로 설정 방법, 네트워크 상호간의 프로토콜, 지역전산망(LAN) 및 광역전산망(WAN) 구조 및 특성 등에 대하여 교육한다. 이를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조 및 특성을 이해하고 설계를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
- B1297 자료구조교육 (Teaching Data Structures)
- 자료구조란 여러 가지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기억시키고, 또 효과적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로서, 자료의 표현을 위해 array, stack, queue, list, tree, graph, heap 등을 공부하며, 자료의 처리를 위해 sort, search, hashing, file 등을 교육한다.
-
- B1298 객체지향시스템교육 (Teaching Object-Oriented Systems)
- 전통적 소프트웨어의 구조와의 완전히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객체지향 시스템에 대하여, 그 개념 및 구조를 분석하고, 객체지향 기술을 적용하는 객체지향 방법론을 교육한다.
-
- B1299 멀티미디어응용교육 (Teaching Multimedia Application)
-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멀티미디어의 기본요소, 소리신호의 디지털화, 영상데이터처리, 텍스트 정보처리, 멀티미디어 동기화, 멀티미디어의 저장 및 재생, 하이퍼미디어 및 PC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저작 등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 B1301 웹프로그래밍교육 (Teaching Web Programming)
- Web 프로그래밍 관련 ASP, PHP 기술을 지도하고 이를 활용한 웹 프로그래밍 제작을 지도한다. 또한 DB 연동기술, 홈페이지 제작 기술을 교육한다.
-
- B1725 소프트웨어공학교육 (Teaching Software Engineering)
- 각종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운영 및 유지보수를 함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제품을 경제적으로 적시에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을 공학적으로 분석 및 설계를 하고, 기술적으로 구현 및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B1478 정보컴퓨터교재연구및지도법 (Subject Specialization and Teaching Method )
- 2015년 개정교육과정 및 교육정책변화에 따라 SW교육에 최근동향에 대해서 소개하고 교과교재연구를 통하여 실습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정보수업과 타 학문과의 융합교육에 대해서 소개한다. 특히 최근 SW교육 및 프로그래밍 중심으로 개정되어서 초.중.고 수업에서 교육과정으로 SW교육이 어느정도 반영되어 있는지 교과교재연구를 통해 지도방법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효과적인 컴퓨터 교육을 위한 컴퓨터교수 학습 이론과 교수방법, 교육환경 설정법, 컴퓨터 수업지도안 작성법, 교육성과의 평가방법 등을 소개한다.
-
- B1721 컴퓨터(정보)교육론 (Theory of Computer (Information) Education )
- 컴퓨터와 컴퓨터 교육의 역사와 특성을 살펴보고, 최근 동향 및 향후 발전방향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효과적인 컴퓨터 교육을 위한 컴퓨터 교수학습이론과 교수 방법, 교육환경 설정법, 컴퓨터 수업지도안 작성법, 교육성과의 평가방법 등을 학습한다.
-
- B1480 정보컴퓨터논리및논술 (Logic and Essay in Information and Computer)
- 자기의견을 주장하기 위한 기본 수단으로서의 논술에 대한 기본 개념을 단락쓰기와 서론 본론 결론 구성 위주로 다루며, 논리적 작성법을 익혀 정보 컴퓨터 영역의 논문 및 기술보고서 작성 기술을 배양한다.
-
- B1481 인터넷윤리교육 (Internet Ethics Education)
- 인터넷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고 인터넷 윤리에 입각하여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인터넷 관련 사회, 문 화 를 살펴보고, 인터넷 사회에서 야기되고 있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규범체계를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