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 음악 지식과 그 지도방법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과 교육자적 자질을 갖춘 창의적이고 솔선수범하는 교육전문가를 양성한다.
교육목표
-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하여 음악교육자로서의 자질을 갖춘다.
- 음악교육의 기본적 학습과정과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습득하여 음악교육자로서의 지도 능력을 배양한다.
- 창의적이고 민족적 자긍심을 갖춘 음악교육자로서 전통음악에 대한 전문지식을 연마한다.
- 21세기의 음악지도자로서 다양한 교육매체와 정보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김성중 | 한문교육 | 580-5367 |
김영미 | 음악교육 | 580-6565 |
이정대 | 음악이론 |
교육과정
구분 |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필수 (2009학년도 2학기 입학부터 적용) |
기본이수과목 | ||
---|---|---|---|---|---|---|---|
교과 교육 |
교과 내용 |
2008학년도 입학자까지 |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
||||
○ | B1744 | 음악교수법 | 2 | ||||
○ | B0298 | 합창지도법 | 2 | ○ | |||
○ | B1745 | 음악수업연구세미나 | 2 | ||||
○ | B0633 | 국악실기지도 | 2 | ○ | ○ | ||
○ | B0776 | 음악감상지도 | 2 | ||||
○ | B1746 | 음악과교육과정연구 | 2 | ||||
○ | B1747 | 음악교육연구방법 | 2 | ||||
○ | B0781 | 성악실기지도 | 2 | ○ | ○ | ||
○ | B1303 | 음악형식교육 | 2 | ○ | ○ | ||
○ | B1748 | 음악교수·학습방법 | 2 | ||||
○ | B1749 | 음악프로그램개발 | 2 | ||||
○ | B1579 | 시창.청음 | 2 | ○ | ○ | ||
○ | B1308 | 작곡법교육 | 2 | ○ | ○ | ||
○ | B1309 | 국악개론교육 | 2 | ○ | ○ | ||
○ | B1310 | 피아노교육법 | 2 | ○ | ○ | ||
O | B1580 | 서양음악사 | 2 | O | O | ||
○ | B1750 | 국악가창지도법 | 2 | ||||
○ | B1751 | 국악기악실기지도법I | 2 | ||||
○ | B1752 | 국악기악실기지도법II | 2 | ||||
○ | B1753 | 고급화성법 | 2 | ||||
○ | B1754 | 음악치료교육 | 2 | ||||
○ | B1755 | 음악교육테크놀로지 | 2 | ||||
○ | B1482 | 음악교재연구및지도법 | 2 | ○ | |||
○ | B1483 | 음악교육론 | 2 | ○ | |||
○ | B1514 | 음악교육논리및논술연구 | 2 | ○ | |||
○ | B1825 | 전공실기 | 2 | O | |||
○ | B1826 | 화성법 | 2 | O | |||
○ | B1827 | 국악개론 | 2 | O | |||
○ | B1828 | 국악실기 | 2 | O | |||
○ | B1829 | 합창.합주지도법 | 2 | O | |||
○ | B1830 | 음악분석및형식론 | 2 | O | |||
○ | B1831 | 피아노반주법 | 2 | O |
교과목 개요
-
- B0298 합창지도법 (Choral Conducting)
- 발성에서부터 악곡해석, 지휘법, 특히 음색 통일과 Blending, Balance 처리와 화음감, 음향 조절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학습을 한다.
-
- B0633 국악실기지도 (Instruc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 국악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장고를 통한 장단치기, 단소, 피리, 대금, 가야금 등의 실제 연주능력을 학습하여 지도력을 갖추도록 한다.
-
- B0781 성악실기지도 (Instruction of Vocal Music)
- 성악 실기지도는 발성의 기초에 중점을 두고 호흡, 두성발성, 흉성발성, 그리고 발음과 음악적 처리 등을 실제적으로 실습하여 지도력을 갖추도록 한다.
-
- B1303 음악형식교육 (Insttruction of Musical Form)
- 음악의 기초 이론에서부터 Motive의 발전 방법, 그리고 여러 가지 형식 등을 악곡 분석에 도움이 되도록 학습하게 한다.
-
- B1308 작곡법교육 (Instruction of Composition)
- 초, 중, 고등학생들의 창작학습에 초점을 두고 동기의 구성과 발전, 형식에 따라 실제 작곡 실습을 단계적으로 교육한다.
-
- B1309 국악개론교육 (Study on I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중등학교 음악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국악이론인 12음률, 정간보와 장단, 악기, 성악곡 등 다양한 면을 모두 이해하도록 한다.
-
- B1310 피아노교육법 (Piano Pedagogy)
- 피아노 지도는 음악지도에 있어 기악지도의 기초이며, 피아노 교육법은 초보적인 터치와 프레이징 처리, 페달처리 등 기술적인 면에 치중하여 학습하는 과목이다.
-
- B1482 음악교재연구및지도법 ( Study of Teaching Material and Methods in Music)
- 음악교육과 관련된 교재와 자료들에 대하여 정보를 얻고 체계화하고, 수업 시연을 통하여 수업지도 능력을 기른다.
-
- B1483 음악교육론 (Theory of Music Education)
- 음악교육의 역사, 여러 다양한 음악관과 음악교육과의 관계, 심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인 면과 음악교육과의 관계및 음악교사관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
- B1514 음악교육논리및논술연구 (Study of Logic and Discourse in Music Education)
- 음악 교육에 관한 논문 작성의 이론적 배경, 논문 작성법, 논리 전개법 및 결론도출, 논문평가 등의 능력을 기른다.
-
- B1579 시창청음 (Sight-Singing and Ear Training )
- 단계별 시창과 청음 훈련을 통하여 음악성을 기른다.
-
- B1580 서양음악사 (History of Western History)
- 고대 그리스부터 현재까지의 서양음악사에 중요한 작품과 작곡자들에 대하여 시대별로 공부하여 시대흐름을 따라 변화해 온 음악의 역사에 대한 지식을 갖춘다.
-
- B1744 음악교수법 (Teaching Methods in Music Education )
- 학교와 학교 음악교육에 적용할 현대적 음악교수법에 대해 학습하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을 연구한다. 각 교수법에 따른 교재와 교구를 개발하는 활동을 하며 중등음악교사로서 교수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 B1745 음악과수업연구세미나 ( Seminar of Studies on music class )
- 학교급별 학습자들의 음악적 성장 특징을 반영한 음악 학습 및 지도의 원리를 학습한다. 중학교 및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내용과 구조를 다양한 분석 방법으로 연구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능력을 기른다.
-
- B1746 음악과교육과정연구 ( Curriculum Study in Music Education )
-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현행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분석한다. 학교 현장에 적용 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내용, 성취 기준, 평가 등을 연구한다.
-
- B1747 음악교육연구방법 ( Research Methods in Music Education )
- 음악교육 분야를 과학적인 방법 - 음악교육 연구 설계 방법, 현장 실험연구 방법, 정성적·정량적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 연구 설계와 통계 기법 등으로 연구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방법을 학습한다.
-
- B1748 음악교수·학습방법 ( Mus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
- 학교 음악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활동과 창의적 교수 방법을 개발, 실천, 평가,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 B1749 음악프로그램개발 ( Program Development in Music Education )
- 교육 대상과 교육 영역에 따른 효과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교수 역량을 개발한다. 음악교사로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현장 교사들이 제시한 우수 음악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검토하여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 B1750 국악가창지도법 ( Teaching Methods in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
- 국악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필수요소인 음정과 장단을 훈련한다. 지역별 민요, 시조, 가곡, 판소리 등의 특성을 학습하고 실제 가창하며 하여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국악 가창의 소양과 기능을 익힌다.
-
- B1751 국악기악 실기지도법 I ( Teaching Method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Performance I )
- 학교 음악 교육에 제시된 다양한 국악기를 실제 배워 연주하며 국악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며, 한국음악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통합교육 지도방법을 개발한다. 장구 반주, 단소, 소금, 가야금 등의 연주법을 학습하고 국악기의 이해 및 교수법을 터득하여 음악 교육에 활용하도록 한다.
-
- B1752 국악기악 실기 지도법 II ( Teaching Method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Performance II )
- 학교 음악 교육에 제시된 다양한 국악기를 실제 배워 연주하며 국악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며, 한국음악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통합교육 지도방법을 개발한다. 장구 반주, 단소, 소금, 가야금 등의 연주법을 학습하고 국악기의 이해 및 교수법을 터득하여 음악 교육에 활용하도록 한다.
-
- B1753 고급화성법 ( Applied Harmony )
- 화성의 기본 진행과 심층적인 화성을 공부함으로써 실제 악곡에 폭넓게 응용할 수 있는 능력과 악곡 분석 능력을 개발한다.
-
- B1754 음악치료교육 ( Music Therapy in Music Education )
- 음악치료학의 기본 원리를 학습하며 마음과 신체의 치유 및 회복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교육학적 입장에서 음악치료의 적용을 연구한다.
-
- B1755 음악교육테크놀로지 ( Technology in Music Education )
- 컴퓨터 음악프로그램 활용법과 전자 악기를 사용한 음악 활동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창작, 악보 입력, 편집, 출력 등의 기본적 기능과 컴퓨터와 연결한 전자 악기로 새로운 음향의 창작하고, 새로운 음악 소재를 개발하고, 필요한 곡을 연주/녹음하는 능력을 기른다.
-
- B1825 전공실기 ( Performance of Music Majors )
- 피아노, 성악, 작곡, 관.현악기 등 음악교육 전공자들의 세부전공 실기교육을 통하여 이론과 음악실기 능력을 겸비한 교육역량을 기른다.
-
- B1826 화성법 ( Harmony )
- 기초화성을 학습하여 조성음악에 대한 이해력을 기른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악곡의 화음, 화성, 조성에 대한 지식으로 악곡을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
- B1827 국악개론 (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 국악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이론, 개념, 악기 등을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국악에 대해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 B1828 국악실기 (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 장구 반주, 단소, 소금, 가야금 등 학교교육에 필요한 국악기 연주법을 학습하고 국악기에 대한 이해 및 지도법을 터득하여 음악 교육에 활용하도록 한다. 다양한 국악기 연주법 학습을 바탕으로 우리 음악에 대해 이해하고 음악교육의 방향을 탐색한다.
-
- B1829 합창.합주지도법 ( Instructional method of Choral and Instrumental Ensemble )
-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급에서 중창과 합창, 중주와 합주를 효과적이고 음악적으로 지도하기위해 필요한 음악 전문지식, 지도기법, 합주문헌, 지휘법, 음악해석 등을 학습한다.
-
- B1830 음악분석및형식론 ( Analysis and Form in Music )
- 음악사에 나타나는 음악의 구성 요소, 악곡 구조, 형식 등을 분석하고 악곡 전반에 대한 이해력을 기른다. 다양한 규모의 형식에 대한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시대, 양식, 음악가 등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작품을 연구하고 작품을 분석하여 음악교사로서 갖추어야 하는 전문적 지식을 학습한다.
-
- B1831 피아노반주법 ( Piano Accompaniment )
- 화음, 화성의 구조, 조바꿈 등 음악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피아노 반주기법을 학습한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악곡을 다양한 반주 형태로 연습하여 음악교육 현장에 적용하도록 실기를 익힌다.